알고리즘 5

[Java | 구현 | 21610번 | 골5]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

문제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 토네이도, 파이어스톰, 물복사버그 마법을 할 수 있다. 오늘 새로 배운 마법은 비바라기이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하늘에 비구름을 만들 수 있다. 오늘은 비바라기를 크기가 N×N인 격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격자의 각 칸에는 바구니가 하나 있고, 바구니는 칸 전체를 차지한다. 바구니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에는 제한이 없다. (r, c)는 격자의 r행 c열에 있는 바구니를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바구니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격자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마법사 상어는 연습을 위해 1번 행과 N번 행을 연결했고, 1번 열과 N번 열도 연결했다. 즉, N번 행의 아래에는 1번 행이, 1번..

알고리즘/백준 2025.01.02

[신장 트리 / 크루스칼 알고리즘]

신장트리 하나의 그래프가 있을 때 모든 노드를 포함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 그래프를 의미 -> 모든 노드가 포함되어 서로 연결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조건은 트리의 성립 조건이기도 함(그래서 신장 트리!) 크루스칼 알고리즘(최소 신장 트리 알고리즘) 신장 트리 중에서 최소 비용으로 만들 수 있는 신장 트리를 찾는 알고리즘 구현방법 1. 간선 데이터를 비용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 2. 간선을 하나씩 확인하며 현재의 간선이 사이클을 발생시키는지 확인 (1) 사이클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최소 신장 트리에 포함 (2) 사이클이 발생하는 경우 최소 신장 트리에 포함 3. 모든 간선에 대하여 2번 과정 반복 ✔️ 최소 신장 트리는 일종의 트리 자료구조이므로, 최종적으로 신장 트리에 포함되는 간..

알고리즘 2023.02.21

[서로소 집합]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Union-Find) 서로소 부분 집합들로 나누어진 원소들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자료구조 구현 방법 ✔️ 트리 자료구조 이용하여 집합 표현 1. union(합집합) 연산을 확인하여, 서로 연결된 두 노드 A, B를 확인 (1) A와 B의 루트 노드 A', B'를 각각 찾는다 (2) A'를 B'의 부모 노드로 설정한다(B'가 A'를 가리키도록 한다 -> '가리킨다'는 부모 노드로 설정하겠다는 의미) 2. 모든 union(합집합) 연산을 처리할 때까지 1번 과정 반복 #특정 원소가 속한 집합을 찾기 def find_parent(parent, x): #루트 노드가 아니라면, 루트 노드를 찾을 때까지 재귀적으로 호출 if parent[x] != x: parent[x] = find_par..

알고리즘 2023.02.21

[Python] 순열 / 조합

- 순열 서로 다른 n개에서 서로 다른 r개를 선택하여 일렬로 나열하는 것 nPr = n! / (n-r)! - 조합 서로 다른 n개에서 순서 상관없이 서로 다른 r개를 선택하는 것 nCr = n! / r! * (n-r)! 순열이랑 조합 .. 고등학생 때(?) 배웠을 때는 분명 어렵지 않았는데 다시 보니 매우 낯설고 헷갈린다 😳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data = [1, 2, 3] result = list(permutations(data, 3))#모든 순열 구하기 print(result)#[(1, 2, 3), (1, 3, 2), (2, 1, 3), (2, 3, 1), (3, 1, 2), (3, 2, 1)] from itertools import product data..

파이썬 2023.02.16

[DFS/BFS] 네트워크

프로그래머스 Level 3 DFS / BFS 문제들이 어려워서 집중적으로 풀어보고자 프로그래머스 에서 집중적으로 DFS, BFS 문제들을 풀어보았다 !!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computers, x, y): q = deque() q.append((x, y)) while q: x, y = q.popleft() for i in range(len(computers[x])): if computers[i][x] == 1: computers[x][y] = 0 computers[y][x] = 0 q.append((i, x)) def solution(n, computers): answer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len(compu..

알고리즘 2023.02.16